부자되는 연결고리

반도체 대기업에 다니며 N잡하는 아빠의 블로그 입니다.

  • 2023. 3. 1.

    by. 뿌이파파

    목차

      반응형

      영화 '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 포스터

       

      영화 '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 정보

      2023년 2월 17일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로 공개된 <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는 김태준 감독이 연출한 작품으로 출연은 천우희, 임시완, 김희원, 김예원 배우가 했습니다. 이 작품은 동명의 일본 원작 소설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러닝 타임은 117분, 관람 등급은 15세 이상 관람 가능입니다. 또한 같은 소설을 원작으로 두는 나카다 히에도 감독의 일본 영화를 리메이크 한 작품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일본 영화의 경우 한국에서 큰 흥행을 거두진 못했습니다. 이번 넷플릭스에서 공개된 작품은 주인공이 스마트폰을 잃어버린 후 이해할 수 없는 사건들이 발생하는 영화를 다뤘습니다. 원작 소설에서는 택시 안에서 남자 주인공이 스마트폰을 잃어버리지만, 이 영화에서는 여자 주인공이 버스 안에서 스마트폰을 잃어버린다는 것이 차이점입니다. 이번 영화에서 악역을 맡은 임시완 배우는 <비상선언> 영화에서 빌런을 연기하며 신들린 정신 이상자 연기를 보여주었는데 그때와 비슷한 사이코패스 모습을 보여주었고, 아이돌 출신 연기자 같지 않게 수준 높은 연기 실력을 보여줬습니다. 또한 이번 작품에서 연출을 맡은 김태준 감독은 <범죄와의 전쟁>, <감기>, <좋은 친구들>, <오피스> 작품에서 연출부로 활동한 이력이 있고, 이번이 첫 장편 영화 데뷔작입니다.

       

       

      스마트폰 하나가 일으킨 나비효과

      회사에서 마케터로 근무하고 있는 나미(천우희)는 어느 날 친구들과 만나 술을 마시며 집으로 돌아가는 버스에서 잠이 들다 그만 스마트폰을 버스에 떨어뜨렸습니다. 다음 날 나미의 친구 은주(김예원)는 나미의 스마트폰으로 전화를 걸었지만 어떤 낯선 여자가 받았습니다. 하지만 그 전화 응답은 휴대폰을 주운 남자 준영(임시완)이 인공지능 앱으로 여자 목소리를 내게 한 것이었습니다. 은주에게 휴대폰을 버스에서 주웠다고 말하며 은주는 나미에게 연락을 해보겠다며 전화를 끊었습니다. 그 사이 남자는 휴대폰으로 오는 SNS 알람으로 SNS 계정을 검색해 휴대폰 주인의 신상 정보를 노트에 메모하고 있었습니다. 그때 나미는 자신의 폰으로 전화를 걸며 찾으러 가겠다고 말하자 남자는 그녀의 정보를 토대로 서교동 쪽에서 만나자고 하자 '미지'라는 카페에서 만나기로 약속을 잡았습니다. 통화가 끝난 후 남자는 비밀번호를 풀어보려 하지만 풀리지 않자 폰을 책상 모서리에 던져 액정을 부쉈습니다. 나미는 휴대폰을 돌려받기 위해 카페에 왔지만 잠시 후 카페로 액정이 부서지는 바람에 수리점에 맡겼다는 전화가 왔습니다. 자신이 수리비를 냈으니 수리점으로 찾아오라고 주소를 불러줬습니다.

       

      나미는 수리점에 찾아가 접수를 하기 위해 자신의 휴대폰 비밀번호를 적었지만 그 수리점을 운영하는 남자는 바로 준영이였습니다. 준영은 액정을 고치는 동시에 스파이웨어를 설치해 다른 휴대폰에 나미의 휴대폰을 복제하기 위해 모든 정보를 옮겼습니다. 이후로 나미가 스마트폰 앞에서 하는 모든 행동, 이동 경로, 소리, 화면을 준영이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준영은 그렇게 나미의 모든 사생활을 파악하기 시작했고 나미의 회사 단체 메신저방에 보내서는 안되는 메시지를 보내고, 나미가 운영하는 SNS 부계정 '키르케엔'에 자신의 회사를 내부 고발했습니다. 나미는 하루아침 만에 자신의 회사 사장에게 해고를 당하며 억울한 마음에 경찰서에 찾아가지만 스마트폰이 해킹당했다는 증거를 가져오라는 답변만 받았습니다. 결국 증거를 찾기 위해 디지털 보안관에 다니고 있다는 준영을 불렀으나 준영은 은주가 해킹했을 거라며 둘 사이를 이간질했습니다. 한편 준영은 나미의 아버지 집에 찾아가 그를 폭행하고 감금한 상태였습니다.

       

       

      연기력과 스토리가 탄탄한 추리 스릴러

      한편 우지만 형사(김희원)는 자신의 아들인 준영을 여성 실종, 살해 사건들의 범인으로 의심하였고, 자신의 아들이 운영하는 스마트폰 수리업체에 찾아갔습니다. 바로 그 업체는 나미가 스마트폰 액정을 고친 곳이었습니다. 그곳에 찾아온 나미로부터 자초지종 설명을 들은 우지만은 그녀를 이용해 준영을 잡을 계획을 세웠습니다. 나미는 자신의 집을 알고 있는 준영을 피해 자신의 아버지가 있는 집으로 갔지만 그곳에는 이미 자신의 아버지를 감금하던 준영이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과연 경찰들은 무사히 그녀를 도와줄 수 있을지 영화를 통해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이 영화의 줄거리는 스마트폰을 필수로 생각하는 현대인에게 공포를 유발할 수 있었습니다. 영화의 제목 그대로 단지, 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 개인 정보가 유출되고 주변인에게 좋지 않게 낙인찍히고, 연쇄 살인마의 위협을 받는 설정은 공포스러웠습니다. 이 영화는 동명의 일본 영화와 비교해 보면 일본 스릴러 특유의 음침함이 묻어나질 않고 한국적으로 잘 리메이크한 것 같으며 가장 일상적인 소재가 공포스러운 소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준영이 나미의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실제 우리가 사용하는 다양한 앱들을 보여주었고 이러한 앱들이 범죄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어 긴장감을 유발했습니다. 영화에서 경찰의 역할이 애매해 다소 부족했지만, 범죄행위를 보여주는 준영의 사이코적인 연기를 보여주어 나쁘지 않았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