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되는 연결고리

반도체 대기업에 다니며 N잡하는 아빠의 블로그 입니다.

  • 2023. 2. 18.

    by. 뿌이파파

    목차

      반응형

      영화 '완벽한 타인' 포스터

       

      영화 <완벽한 타인> 정보, 출연진, 원작 정보

      2018년 10월 31일 개봉한 영화 <완벽한 타인>은 드라마, 코미디 장르로 유해진, 조진웅, 이서진, 염정아, 김지수, 송하윤, 윤경호 배우가 출연한 영화입니다. 이 영화의 연출은 이재규 감독이며 러닝타임은 115분, 평점은 국내 포털 9.08입니다. 이재규 감독은 2003년 <다모>로 드라마 감독으로 입지를 다졌고 2022년에는 넷플릭스에서 공개된 웹툰 원작 <지금 우리 학교>를 연출했습니다.

      원작은 2016년에 개봉한 이탈리아의 영화 <퍼펙트 스트레인저>로 지금까지 가장 많이 리메이크된 영화로 기네스에 올랐습니다. 한국 이외에 프랑스, 인도, 스페인, 그리스, 터키, 베트남 등 총 18차례나 리메이크 되었습니다. 원작이 비교적 최근에 나왔지만 이렇게 많이 리메이크 된 점은 개인 사생활과 스마트폰이라는 소재가 전 세계적으로 공감대를 불러일으켰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한국에서 개봉한 <완벽한 타인>은 1984년 속초 영랑호에서 얼음낚시를 하면서 월식을 감상했던 소년들이 34년이 흐른 뒤 성인이 되고, 각자의 배우자, 여자친구끼리 친하게 지내는 사이가 되었습니다. 월식을 맞아 석호(조진웅) 부부의 집에 초대되면서 영화의 스토리가 시작했습니다. 겉보기에 모두 사회적으로 성공해 보이고 배우자와의 관계도 좋아 보이지만 다들 각자의 속 사정을 서로에게 보여주는 영화입니다.

       

       

      누구에게나 비밀은 있다

      한 동네에서 자란 40년 지기 친구인 석호(조진웅), 태수(유해진), 준모(이서진), 영배(윤경호)는 석호의 집에 모인 후 화기애애한 분위기에서 집들이가 시작되었습니다. 석호(조진웅)의 아내인 예진(김지수)은 어렸을 때부터 유복하게 자라 집안에 있는 가구들이 모두 명품이었습니다. 다른 친구들도 수의사, 변호사, 성형외과 의사 등 사회적으로 성공한 사람들이었습니다. 하지만 늦게 도착한 영배(윤경호)는 이혼남이었고 같이 오기로 한 여자친구가 오지 않았습니다. 오랜만에 만나 반갑게 인사한 후 맛있는 음식을 먹으며 한 친구가 게임을 제안했습니다. 그 게임은 휴대폰을 식탁 위에 올려놓고 지금부터 수신되는 전화, 문자, 이메일, 메신저 등을 모두 공유하는 것이었습니다. 그 게임으로 인해 석호는 아내인 예진 몰래 투자하는 것을 들키게 되었고, 예진은 정신과 의사지만 다른 정신과 의사에게 상담을 받고 있는 걸 들키게 되었습니다.  또한 수현(염정아)에게 문학반 친구인 김소월(라미란)에게 그동안 예진의 험담을 한 것을 알게 되었고 자신의 시어머님을 실버타운에 모시려고 한 계획도 들통났습니다. 한편 태수는 어떤 여성과 바람을 피우고 있었는데 그 여자가 매일 밤 10시에 노출 사진을 보내기에 영배에게 부탁해 폰을 바꿨습니다. 그러나 태수가 가진 영배의 폰으로 어떤 게이에게 문자가 왔고 그로 인해 태수는 친구들에게 게이로 오해받는 상황이 왔습니다. 자기 대신 게이로 몰리는 태수를 보며 영배도 어쩔 줄 모르는 모습을 보였고 40년 지기 친구들은 마음이 불편해졌습니다. 한편 세경(송하윤)은 준모가 자신의 레스토랑 매니저와 불륜, 임신까지 시킨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우린 모두에게 완벽한 타인

      어릴 적부터 함께 자라온 친구들과 부부동반 모임에서 사건은 시작했습니다. 오랫동안 친구들과의 관계를 유지하려면 서로의 속마음에 대해 거짓 없이, 아무런 제약 없이 모든 것을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게임 하나로 인해 친한 친구들 사이에서도 비밀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부부 또는 연인 사이에서도 알면 안 되는 사실이 있고, 서로에게 공유하고 싶지 않은 사생활이 있기 때문에 영화 속 게임을 통해 각자의 비밀이 밝혀지는 과정이 엄청난 긴장감을 유발했습니다. 마치 이 영화는 드라마 장르가 아닌 공포 장르인 것만큼 긴장감이 상당했습니다. 영화는 마지막에 이 모든 것은 상상이었다는 결말을 통해 해피엔딩으로 끝났습니다. 하지만 이 영화는 두 가지 결말을 모두 보여줬다고 생각합니다. 첫째는 모든 진실이 드러난 채 파국으로 끝난 결말, 둘째는 모든 진실을 감춘 결말이었습니다. 영화 속에서 월식이라는 상황도 상당히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월식이란 달이 지구의 그림자 속으로 들어가서 달이 가려지는 현상입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달은 제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처럼 각자의 사생활과 비밀은 월식처럼 시간이 지나면 어떠한 방식으로 드러나게 된다는 걸 의미하는 것 같습니다.

      반응형